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부미용 - 림프관리, 림프계의 구성, 림프절과 흐름

by yrahealingtime 2025. 4. 19.

피부미용 - 림프관리, 림프계의 구성, 림프절과 흐름
피부미용 - 림프관리, 림프계의 구성, 림프절과 흐름

 

1. 피부미용 림프관리

1. 림프관리의 정의

림프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후 고객의 피부상태를  파악하여 신체부위에 따라 림프의 방향, 속도, 압력을 적절하게 테크닉하여 피부의 세정과 순환을 돕는 관리이다.

 

2. 림프관리의 효과

1) 면역기능 상승

2) 세정작용

3) 부종으로 인한 통증 개선

4) 자율신경 조절 작용으로 심리적 안정감

5) 여드름, 노화 피부, 셀룰라이트 등에 효과적

 

3. 림프관리 시 금기사항

1) 악성종양(활성화)

2) 급성염증(활성화)

3) 결핵(결핵을 앓았던 경우 의사의 허락 필요)

4) 알레르기(히스타민 반응 활성화)

5) 단독(피하조직의  연쇄상구균감염)

6) 혈전증

7) 심장 기능 부전(저단백질 부종)

8) 그 외의 질병이 진행중인 경우

 

2. 림프계의 구성

림프 순환계는 조직 사이에서 시작되는 작은 모세림프관에서 시작하여 말초의 림프액을 중심 쪽으로 이동시키는 일방 시스템이다.

 

1) 림프

동맥의 압력에 의해 모세혈관벽을 뚫고 조직 사이로 나온 성분중에 모세림프관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림프(림프액, lymph)라고 한다.

 

2) 림프관

림프관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 피부 사이에 존재하는 얕은 림프관(80%), 근막 아래에 위치하는 깊은 림프관(20%)으로 나뉜다.

 

가. 림프관의 역할

  • 림프를 림프절롸 운반하는 운반 기능
  • 판막이 존재하여 역류를 방지

* 림프액에 흐르는 경로는 모세림프관 -> 전수집림프관 -> 수집림프관 -> 림프절 -> 림프관줄기 -> 정맥의 순서이다.

 

3) 림프절

림프절의 외형은 둥근 모양에 한쪽은 볼록하고 한쪽은 오목한 형태의 일정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오목한 부분을 문이라 하는 1~2개의 유출림프관과 볼록한 부분의 유입림프관으로 되어 있다.

림프유입관은 상대적으로 유출림프관보다 많다.

 

가. 림프절의 기능

  • 여과와 식균 작용에 의한 방어 기능
  • 여과된 채액을 재흡수하여 40%정도까지 림프액을 농축
  • 림프구와 형질 세포가 항체를 생성하여 면역을 담당
  • 신체가 흡수나 제거할 수 없는 물질을 저장

 

3. 신체부위별 림프절과 림프 흐름

 

1) 두개안면부의 림프 흐름

  • 림프는 이마, 빰, 눈 주변, 코, 입술, 턱, 두피 등에서 시작한다.

 

가. 림프 흐름 경로

부위 림프 흐름 방향 주요 림프절
이마, 눈가, 광대 귀 앞쪽으로 흐름 이개전 림프절 (Preauricular)
코, 윗입술, 뺨 양쪽 턱 아래로 흐름 턱밑 림프절 (Submandibular)
아랫입술, 턱 끝 목 앞쪽 중앙 방향 턱끝 림프절 (Submental)
귀, 관자놀이, 측두부 귀 뒤 및 측면으로 흐름 후이개 림프절 (Postauricular)
두피 후두부 목덜미 쪽으로 흐름 후두 림프절 (Occipital)
전체 얼굴 및 두피 림프 목 쪽 림프 중심으로 집결 경부 림프절 (Cervical)

 

2) 머리와 목에서의 림프 흐름

목에는 약 300개 이상의 림프절이 있으며, 특히 아래 3개 그룹이 중요하다.

림프절명 위치 기능
표재성 경부 림프절 목 앞·옆 피부 아래 얼굴, 두피, 귀, 턱 림프 수용
심부 경부 림프절 목 근육 깊은 곳 (흉쇄유돌근 아래) 주요 림프 배출 통로
후경부 림프절 목 뒤쪽, 등 상부로 연결 후두부 및 어깨 림프와 연결

 

3) 뇌에서의 림프 흐름

"글림프계(Glymphatic System)"는 'glia' (신경교세포) + lymphatic'(림프)'의 합성어로, 뇌에 특화된 림프 배출 시스템을 말한다.

뇌 속에는 기존 림프적이 없지만, 뇌척수액(CSF)을 통해 노폐물을 정리하고 혈관 주변 통로를 통해 배출하는 구조가 존재한다.

 

  • 출발 : 뇌척수액(CSF) - 맥락총에서 생성된 뇌척수액이 뇌의 실질조직으로 들어감
  • 확산 : 혈관 주위 공간 - 동맥 주변 공간을 따라 뇌조직 내부로 CSF가 확산되어 들어가면서 노폐물 및 대산산물을 수거
  • 청소 : 아스트로사이트(별아교세포) - 세포 사이를 흐르는 뇌척수액이 노폐물을 수거하며 이동(베타아밀로이드, 타우 단백질)
  • 배출 : 정맥 주변 및 림프 통로 - 수거된 림프성 액체는 뇌정맥 주변을 따라 이동, 경막 외부 림프관 또는 목 쪽 심부 림프절을 통해 전신 림프계로 배출

4) 팔, 다리 , 몸통에서의 림프 흐름

 

  • 팔의 림프의 흐름
위치 림프절 이름 기능
팔꿈치 안쪽 주정맥 주위 림프절 (Cubital nodes) 손·팔뚝 림프 수거
겨드랑이 액와 림프절 (Axillary nodes) 팔, 가슴, 겨드랑이 피부 림프 수집
쇄골 아래 쇄골하 림프절 (Subclavian nodes) 림프액을 정맥계로 배출
    • 다리의 림프의 흐름
위치 림프절 이름 기능
무릎 뒤 슬와 림프절 (Popliteal nodes) 발·종아리 림프 수집
사타구니 서혜 림프절 (Inguinal nodes) 다리 전체, 생식기, 엉덩이 림프 수거
골반 깊숙이 장골 림프절 (Iliac nodes) 하반신 림프를 복부 쪽으로 이동

 

  • 몸통의 림프의 흐름(가슴, 복부)
부위 주요 림프절 설명
가슴 중앙 종격 림프절 (Mediastinal nodes) 폐, 심장, 기관지 림프 수거
유방 주변 액와 림프절, 쇄골하 림프절 유방 림프 순환에 핵심 역할
쇄골 근처 쇄골상 림프절 몸 전체 림프가 정맥으로 유입되는 마지막 관문
위장·간 주변 복강 림프절 (Celiac nodes) 소화기관에서 림프 수거
장 주위 장간막 림프절 (Mesenteric nodes) 음식물 흡수 후 지방성분 수송
복부 대동맥 주위 요추 림프절 (Lumbar nodes) 하반신 림프가 최종적으로 도달